건강도시사업 비전
건강도시사업 비전
세계보건기구
세계보건기구에서는"건강도시란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 하고 창출하며, 지역사회의 자원을 증대시킴으로써 도시 구성원들이 개개 인의 능력을 모두 발휘하고 잠재능력을 최대한 개발하여 서로 상부상조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
(A Healthy City is one that is continually creating and improving thos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and expanding those conmunity resources which enable people to murually support each other in performing all the functions of life and in developing to their maximum potential)라고 정의함.(Hancock and Duhl, 1988)(AFHC Report, 2008)

- 시민의 건강과 안녕을 의사결정과 과정의 최정상에 두는 도시
-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
- 개개인의 능력과 잠재력 개발기회 부여로 참여도시
건강도시 역사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연혁 및 현황
- 연혁
연대 | 구분 | 주요 추진 실적 |
---|---|---|
2004 ~ 2006 | 협의회 준비기 | - 국내 건강도시 간 협력체계 구축 |
2006 ~ 2010 | 제1·2대 의장도시(창원시) | -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창립총회(2006.9.14.)
- 임시총회, 운영위원회, 정기총회 등 개최 |
2011 ~ 2014 | 제3·4대 의장도시(원주시) | - 국제건강도시 심포지엄 개최
- 국민건강증진법 개정 관련 공동 건의문 채택 등 |
2015 ~ 2018 | 제5·6대 의장도시(강동구) | - 운영위원회 및 총회 등 참석범위 단체장으로 격상
- 협의회 공동정책 ‘활동적인 생활환경 조성’ 선언 - 제9회 건강증진 국제 컨퍼런스 참석(중국 상하이) - 회원도시 역량강화 교육, 법제화를 위한 공청회 추진 등 |
2019 ~ 2020 | 제7대 의장도시(종로구) | - KHCP 운영위원회, 학술위원회 등 개최
- 2019 KHCP 정책리더십 아카데미(3.28.~4.3.남부유럽) - 2019 건강도시 리더십 프로그램 운영(7.15.~19.몽골) - 포스트코로나 건강도시 방향정립을 위한 중간보고서 제작·발간 |
- 현황: 회원수 114개 단체 및 기관(2020. 9월 기준)
- 정회원: 103개 자치단체, 준회원: 11개 연구학술기관